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학원도시 키보토스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문화 == * '''사교육''' [[흥신소 68 업무일지|흥신소 68 스핀오프 만화]]에서는 학교 외에도 사교육 기관이 있는 것으로 그려지는데 본편에도 적용되는 설정인지는 불명. * '''언어 및 문자''' 기본적으로 현실의 [[일본어]]와 [[신자체]]에 대응하는 언어와 문자를 쓰며 당장 등장인물들의 이름부터가 일본식이다. 그리고 [[어떤 과학의 청춘기록|콜라보 이벤트]]로 키보토스를 방문한 일본 출신 캐릭터들이 초면에 성 빼고 이름으로 부르는 것에 어색함을 느꼈을 뿐, 문제없이 언어가 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설이나 건물 등등의 문자는 서비스 국가(일본 내수용은 일본어)에 따라 바뀌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비내재적 언어|게임 외적]]인 [[현지화]]일 뿐이다.] [[라틴어]], [[프랑스어]], [[영어]], [[독일어]] 등도 가끔 쓴다. 한자도 신자체가 아닌 [[리쿠하치마 아루|정자체]]를 쓰는 사례가 있다.[* 이는 일본에서 정체자는 아직까지 인명, 회사 이름에 사용하는 사례가 있기 때문으로 홍콩, 마카오, 대만에서도 사용한다. 중국 본토에서 쓰는 간체자는 아직 안 나온 듯하다.] 라틴 알파벳도 자주 사용되며 [[밀레니엄 사이언스 스쿨]]은 아예 교표가 알파벳에서 유래했다. 대사는 [[한중일]] 3국어로 더빙되어 있지만 이것도 말 그대로 게임 상의 허용일 뿐이다. 숫자는 대부분 [[아라비아 숫자]]를 쓰나 행정 문서의 경우 [[갖은자]] 표기를 쓰는 경우가 있다.[* [[파일:IMG_5767.png]]] * '''인명 및 경칭''' 대부분 [[작명#s-3.1.3|일본식 인명]]을 사용하지만 성씨가 아닌 이름 부분은 거의 다 가타카나로 일관되게 표기되고 있다. 가타가나 부분은 보통 2~3자로, 4자를 넘는 학생은 사쿠라코 같은 예외를 빼면 그리 많지 않다.[* 실제 일본인들 중에도 대외적인 인명 표기 시 이름 부분은 호적상의 한자표기와 별개로 편의상 그 발음을 히라가나나 가타카나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 한자를 쉽게 유추해볼 수 있을 법한 인명이지만 [[렌카와 체리노|체리노]], [[텐도 아리스|아리스]]와 같이 한자로 쓸 수 없는 [[DQN 네임]]이나 외래어에서 따온 듯한 이름 역시 존재한다. 물론 중국판, 대만판 등에서는 당연히 언어가 한자이므로 가타카나 부분까지 음차된 한자가 표시되었으며 일본인 입장에서는 남성스럽거나 오래된 이름도 있는 편이다.[* 바둑 선수가 먼저 떠오른다던 [[히후미]]나 코(子)자 돌림으로 끝나는 하나코, 아츠코 등. 한국로 따지자면 캐릭터 이름이 숙자, 말자인 격이다. 때문에 부모~조부모 세대의 이름과 겹쳐서 묘하다는 얘기도 가끔 나온다. 개발진들 중에 일본인 스태프가 없는 것이 원인으로 여겨지지만 공식적으로 증명되진 않았다.] 성씨는 조금 다른데 실제로 일본에서 쓴다고 해도 희성이거나 전혀 쓰이지 않는 성씨도 있다. 예를 들어 [[스나오오카미 시로코|스나오오카미]], [[리쿠하치마 아루|리쿠하치마]], [[사이바 모모이]]와 [[사이바 미도리]]의 사이바, [[코마카제 라브|코마카제]] 등의 성씨들은 실존하지 않는 가상의 성씨다. 이 경우는 캐릭터의 설정 및 모티브에 따라 [[캐릭토님]]을 의도했다고 보는 게 좋다. [[요비스테]] 문화가 있는 일본과 달리 키보토스에서는 어지간한 사이면 이름으로 부르는 게 더 자연스러운 건지 평소에도 서로를 이름으로 부르는 문화가 있으며, [[미사카 미코토(블루 아카이브)|미사카]]가 키보토스로 전이해 왔을 때 에이미가 미코토로 부르는 걸 보고 미사카가 요비스테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대사가 있다. 요비스테가 없는 건 일본보다는 한국 문화에 가깝다. 그러나 키보토스에서 타인을 성으로 부르는 경우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닌데, 에덴조약 편에서 [[우라와 하나코|하나코]]가 보충수업부 멤버들을 처음 만났을 때는 격식을 차리며 대부분 "(성씨) 씨"를, 부장인 히후미는 "아지타니 부장님"이라고 불렀고 하나코 본인의 과거 회상에서 다른 사람들이 하나코를 "우라와 씨"로 부르는 장면도 있다. 그 밖에도 [[시치도 유키노]]가 [[츠키유키 미야코]]를 츠키유키 소대장이라고 부르거나 [[블루 아카이브/이벤트/Get Set, GO!|황륜대제 2부]]에서는 유우카가 마리를 처음 만났을 때 "이오치 양"이라 부르자 마리가 그냥 이름으로 불러도 된다고 말하거나 하스미가 유우카를 "하야세 양"이라고 칭했으며, [[쿄야마 카즈사|카즈사]]가 [[우자와 레이사|레이사]]를 대하기 귀찮아하며 이름이 아닌 성으로 칭하는 등이다. 그러나 이 장면들은 일본의 호칭 문화를 반영했다기보다는 일본 밖의 다른 나라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말 그대로 초면이거나 친하지 않는 사람에게 예의를 차리는 호칭에 가까운 느낌이다. 또한, 자신의 동급생들에게는 반말을 써도 작 중에서 명백히 '''어른'''이라고 언급되는 선생에게는 [[존댓말]]을 쓰는 학생도 있지만 별 상관없이 선생에게 편하게 [[반말]]을 쓰는 학생도 굉장히 많은데[* 세리카, 호시노, 시로코, 아루, 무츠키, 카요코, 히나, 이오리, 준코, 이즈미, 메구, 카스미, 마코토, 이부키, 키라라, 코하루, 아즈사 등등] 이를 보면 예의를 차리는 존댓말이 꼭 지켜지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코하루처럼 이전 동아리 선배였던 하스미에게는 존댓말을 쓰지만 현 동아리 선배인 하나코에게는 반말을 쓰는 등의 케이스도 있다.] * '''취직 연령''' 중학생인 [[소라(블루 아카이브)|소라]]가 엔젤 24에서 아르바이트 근무를 하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아동노동]]이 허가되는 것으로 보인다.[* 당연하겠지만 현실에서는 불법에 해당한다. 불법이지만 아동노동이 있는 곳은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콩고 등 빈곤한 남아시아 아프리카 대부분 국가에서 성행하고 있다. 물론 여기도 불법인 데다 처벌받으니 암암리에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아프가니스탄에서 탈출한 난민이 예시에 해당한다.] 다만 로봇과 수인들이 많은 업무를 담당하고 있긴 하지만 배경이 배경인 만큼 학교가 사실상 국가기관의 역할을 하는 것과 다름없으므로 학교를 학생들이 운영하듯 학생들이 노동하는 것을 문제 삼지 않는 듯하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